물가? 지금 중요한 것은 그게 아니다. 선진국들이 현재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는 명확하다.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. 어제(11/24) 한국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있었고 연속 6차례 금리를 올렸다. 현재 3.25%p의 기준금리 물가가 잡히지도 않았는데 자금경색 우려에 기대보다 적게(베이비 스텝-baby step) 올렸다. 지금 한은에 시선에는 물가 안정 보다 경기 하강 그리고 금융안정에 무게가 더 크다. 경기 둔화, 채권시장 (레고랜드, 한전채 등) 자금시장 불안이 확대되어 한은에서는 내년 경기 성장률을 1.7%로 낮췄다. 이는 2008년 금융위기이후 우리나라의 최저 성장률이다. 이런 성장률의 환경이라면 물가도 자연스레 내려간다는 의미다. 한국은행 이외 다른 나라의 중앙은행은 어떨까? 한국은행의 말에서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