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침체 2

미국이 원하는 것은 경기침체일까? (f. 김일구의 쩐쟁)

지난주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3.25% 로 인상했다. 이어서 내년도 금리인상을 할 예정이지만 이번 금리인상 고점이 3.5%~3.75%가 될 것 같다고 언급했다. 미국은 연방기준금리가 4%이다. 그리고 아직도 인상의 끝을 이야기하지도 않았다. 그렇다면 한국의 금리는 미국보다 낮은 수준에서 끝날 것인가? 이 그림을 보면 과거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이 미국보다 고점이 낮았음을 알 수 있다. 미국은 이전부터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을 사용했다.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 이전에는 금리보다 통화량 중심의 통화정책이었다. 지금의 중국이 그러한 경우다. 그래서 중국에 금리라는 것은 의미가 없다. 중국이 통화량을 얼마나 늘리느냐 줄이느냐 그것이 큰 영향을 미친다. 외환 위기 이후 한국은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을 받아들인다. ..

너튜브 2022.12.01

희소한 성장을 찾아라! (f. 삼프로TV 박석중 위원)

세계 투자은행들의 내년 금리와 주식등 그 전망을 들여다보면 매우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에 놀란다. 그만큼 기회도 많지만 어려운 시장이라는 의미다. 2023년을 바라보는 투자자에게 감히 세 가지 당부를 하고 싶다. 첫 번째 이야기는 이 것이다. 안정적 경기와 안정적 물가는 공존할 수 없다. 올해는 매파적 연준을 비둘기적인 시장이 수용하면서 올해 변동성 장세가 진행된 것이다. 금리가 오르면 수요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. 이는 통상 9~12개월의 시차가 있다. 결국 올해 말과 내년 초는 우리가 보지 않았던 펀더멘탈을 수요 측면에서 소화해야 하는 국면이다 그 이후 물가 안정이 진행될 수 있다. 물가는 공급과 수요에 힘겨루기에 의한 균형점이다. 연준이 긴축을 통해 물가를 안정화 시킨다는 이야기는 수요를 파괴시켜..

너튜브 2022.11.28